야당이 이번 국회를 정쟁의 장으로 만들었다는 비판과 함께 여당이 집권당으로서 무책임했다는 지적이 함께 나오고 있다.
|
이번 국회 정쟁 상임위는 크게 3곳이 꼽힌다. 대통령실을 피감기관으로 둔 국회운영위와 각종 특검법을 심사했던 법제사법위원회, 방송업계를 둘러싸고 여야가 치열하게 다툰 과학방송기술통신위원회다. 이들 3개 상임위는 예년과 비교해 전체회의 개최 건수가 크게 늘었다.
이 중에서도 과방위는 전체회의 횟수와 규모 면에서 다른 상임위를 압도한다. 직전 3개년(2021~2023년) 국회와 비교해도 회의 건수가 많았다.
실제 이데일리가 열린국회정보 자료를 토대로 최근 4년간(각 연도별 6~12월 기준) 상임위별 전체회의 개최 건수를 추산한 결과, 지난해 6~12월 과방위 전체회의 개최 건수는 43건이었다. 전년도 같은 기간(2023년 6~12월) 21건 대비 2배다. 직전 3개년(2021년~2023년 6~12월) 평균 전체회의 개최 건수 16건과 비교해도 많다.
과기정통부 산하 공공기관 관계자는 “전체회의 개최가 다른 상임위보다 빈번하고 여야 간 갈등의 골도 깊다 보니 그곳 의원실 보좌진들이 받는 압박과 스트레스는 상당히 클 것”이라고 말했다. 과방위 내 여권 관계자는 “야당이 작정하고 정쟁터로 만들었다”고 지탄했다.
|
국회 운영위는 전체회의 건수 증가율 면에서 주목받았다. 지난해 6~12월 전체회의 개최 건수는 16건으로 전년 같은 기간(9차례) 대비 2배 가까이 늘었다. 6~12월 기준 직전 3개년(2021~2023년) 평균 7건과 비교하면 크게 늘어난 수치다.
여당 맡은 경제 상임위 활동 부진…“말로만 민생·경제”
대표적으로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를 들 수 있다. 지난해 6~12월 산자위 전체회의 개최 건 수는 18건으로 전년(2023년) 같은 기간 21건보다 3건 줄었다. 직전 3개년 평균 18건과 같다. 국회 상임위 중 존재감이 가장 작은 여성가족위원회조차 전체회의 개최 건수가 6건에서 7건으로 늘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부진했다’라는 평가를 피할 수 없다.
1월 들어도 상황은 비슷했다. 정무위와 함께 산자위의 전체회의 개최 건수는 0건을 기록했다. 정무위 소속으로 상법 개정을 추진 주인 한 야당 의원은 “여당 위원장과 간사가 전체회의 여는 것조차 피하면서 뭉개고 있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최병천 신성장경제연구소 소장은 “야당이 정쟁에만 몰두한다고 비판하기에 앞서 여당이 집권당으로서 자신들이 할 일을 제대로 했는지 반성이 필요하다”면서 “민생과 외교를 외면했다는 점에서 여당이 책임을 다 했는지 반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