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부회장은 제련소 임직원들에게 “국제 정세가 급변하는 가운데 자원안보 수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며 “국가기간산업 본연의 역할에 부응해 공급망 차질이 없도록 안정성을 뒷받침하고 국익에 기여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고려아연은 이날 ‘국가자원안보특별법’이 시행되면서 핵심광물 확보 노력이 절실해졌다고 설명했다. 국가자원안보특별법은 자원안보 추진체계와 자원안보위기 조기경보체계를 운영하고 핵심자원의 공급과 수요 관리 등에 대한 사항을 규정한다.
고려아연(010130)은 중국 정부가 수출통제 조치를 취한 5개 품목 가운데 인듐, 비스무트, 텔루륨 등 3개 품목을 생산한다. 디스플레이·터치스크린·태양광패널 제조에 활용되는 ‘금속 비타민’ 인듐의 경우 연간 글로벌 수요 약 1400톤 가운데 150톤(11%) 가량을 고려아연이 공급하고 있다.
지난해 9월 중국이 수출 통제에 나서며 공급 부족 현상이 심화된 안티모니 또한 고려아연이 국내에서 유일하게 생산 중이다. 안티모니는 군수품, 반도체, 적외선 장치, 납축전지 등 다양한 분야에 쓰이고 있는데, 최근 대미 수출을 둘러싼 협의가 이뤄지는 등 수요가 한층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부회장은 “전략광물의 안정적 공급은 대한민국 경제와 산업 경쟁력의 근간으로 고려아연은 자원안보에 일조하는 과제를 최우선으로 삼아야 한다”며 “온산제련소 임직원의 헌신과 노력 덕분에 변화에 발빠르게 대응할 수 있었고 앞으로도 기술 혁신과 생산성 향상을 추구하면서 성장기반을 두텁게 다지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