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이데일리 취재를 종합하면 최근 하나은행은 한국소호뱅크 컨소시엄에 참여 결정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하나은행은 내부 의사결정을 위한 위원회를 열어 KSB 참여에 합류키로 하고 최종 절차를 진행 중이다. 토스뱅크 지분 8.96%를 보유한 하나은행은 참여를 고심했다가 최근 참여하는 쪽으로 방향을 선회했다고 알려졌다. 지방은행 중에서는 부산은행이 KSB의 제안서를 받고 합류를 검토 중이다. 부산은행 관계자는 “현 상황에서 확정된 것은 없다”며 “제안서를 받고 검토 중인 단계다”고 말했다.
하나·부산은행까지 합류하면 KSB 컨소시엄은 총 네 곳의 대형은행이 참여한다. 가장 먼저 합류를 결정한 우리은행에 이어 NH농협은행도 최근 KSB 참여를 확정했다. 이외에도 우리카드, 유진투자증권, 아이티센, 메가존클라우드 등 주요 금융·IT 기업이 KSB 컨소시엄에 함께하고 있다.
컨소시엄 중 또 다른 대항마였던 유뱅크 컨소시엄 역시 인가신청을 포기하고 추후 재신청으로 결정했다. 유뱅크 컨소시엄을 이끌고 있는 김성준 렌딧 대표는 “최근 불안정한 경제와 정국 상황을 고려해 빠르고 신중한 전략적 판단이 필요하다고 보고 추후 예비인가 신청을 재추진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유뱅크 컨소시엄에는 현대해상과 현대백화점·네이버클라우드·렌딧·트래블월렛·루닛·삼쩜삼이 참여했고 SKT도 합류를 검토 중인 상황이었다. 대형 은행 중에서는 IBK기업은행이 유뱅크 컨소시엄 합류를 검토하고 있었다. 이외에 소소뱅크, AMZ뱅크, 포도뱅크 컨소시엄이 인터넷전문은행에 출사표를 던졌지만 KSB와 비교하면 참여 은행이나 자금력 등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더존·유뱅크 컨소시엄 인가 신청 철회로 KSB가 승기를 잡는 분위기도 감지된다”며 “주주구성·자본금을 볼 때 시중은행이 합류한 KSB의 세가 압도적이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