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면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에 집중하는 모양새다. 한 총리 탄핵 기각에 대해서는 “납득하기 어렵다”는 짧은 반응을 보였을 뿐이다.
대통령실·국민의힘 “야당의 탄핵 남발”
24일 헌법재판소의 탄핵 기각 결정으로 한 총리는 대통령 권한대행 직무에 복귀하게 됐다. 국회 탄핵소추로 직무가 정지된 지 87일 만이다. 대통령실은 입장문을 내고 “한 권한대행 겸 총리의 직무 복귀가 국정 정상화의 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탄핵소추안을 주도했던 야당을 향해서는 “오늘 결정으로 국회 탄핵 남발이 무분별한 정치 공세였다는 것이 다시 한번 입증됐다”고 비판했다.
|
여권 유력 대권주자들도 일제히 민주당과 이재명 대표를 비판했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국무총리 탄핵소추는 애초부터 무분별하고 무책임한 일이었다”며 민주당에 대국민 사과를 요구했다. 지난 21일 야5당이 발의한 최상목 경제부총리 탄핵소추안도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
홍준표 대구시장도 SNS를 통해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 심판도 조속히 기각해 국정 정상화를 이뤄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경제적 불확실성과 국가 이미지 손상의 책임은 이재명 대표에게 있다”며 “이 대표는 국정 마비 혼란에 대해 국민 앞에서 사과하라”고 요구했다.
태연한 민주당, 윤 대통령 탄핵에 집중
잇따른 탄핵 기각에도 민주당 지도부는 겉으로는 태연한 모습을 보였다. 이들은 헌재가 조속히 윤 대통령의 탄핵 선고일을 지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를 위해 서울 광화문 광장에 천막 당사를 설치하고 장외 여론전을 펼친다는 방침이다.
|
한 총리 탄핵 기각과 관련해서는 짧게 언급하는 데 그쳤다.
이 대표는 “(헌재의) 결정을 존중하지 않을 수 없지만, 헌법기관 구성을 방기한 위반 행위를 ‘탄핵할 정도는 아니다’라고 판단한 결론을 국민들이 과연 납득할 수 있겠는가”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마은혁 헌법재판관 임명을 촉구하며 공세를 이어갔다. 한민수 민주당 대변인은 “한덕수 총리는 복귀에 앞서 헌법을 준수하겠다고 약속하고, 마은혁 재판관을 즉각 임명하라”고 촉구했다.
다만 민주당 내부에서는 계속되는 탄핵 기각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한 비명계 인사는 “한 총리에 대한 탄핵 심판 기각은 누구나 예상했던 결과”라며 “완전한 실패작”이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