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삼성 준감위가 공개한 2024년도 연간 보고서를 보면, 이 회장은 지난해 11월 준감위와 간담회를 실시했다. 이 회장은 간담회에서 위원들과 준법경영에 대해 격의 없이 의견을 나눴다고 준감위는 전했다.
외부에 알려진 이 회장과 준감위의 회동은 지난 2022년 10월 이후 2년여 만에 처음이다. 이찬희 삼성 준감위원장은 그동안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 회장과 회동 여부에 대해 “여러 안건에 대해 많은 소통을 하고 다양한 의견을 개진하고 있다”고 언급해 왔다.
|
준감위는 또 지난해 7월 삼성 7개 관계사 대표이사들과 간담회를 열었다. 이찬희 위원장은 2시간여 동안 진행한 간담회에서 “삼성이 국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준법 이슈가 생기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고, 관계사 대표이사들은 이에 동의했다.
준감위는 지난 2월 루마니아, 폴란드, 헝가리 등 동유럽 지역의 관계사 사업장을 방문했다는 사실도 알렸다. 준감위원들은 루마니아 삼성전자 루마니아 판매법인(SEROM), 삼성물산 루마니아 오텔리녹스로부터 준법경영 현황 등에 대한 설명을 들었고, 삼성전자 유럽총괄에 속한 각 법인에 대한 준법관리 현황 등에 대해 논의했다. 준감위 관계자는 “해외 현지에서 지켜야 할 노동, 환경, 안전 등 법규 준수 활동뿐만 아니라 CSR 활동 등도 논의했다”고 전했다.
이 위원장은 “삼성은 특히 정경유착으로 오해 받는 일조차 없어야 할 것”이라며 “위원회 역시 삼성의 발목을 잡는 부당한 외압을 막아내는 준법의 방파제가 되겠다”고 했다.
이 위원장은 지난해 8월 결정한 삼성의 한국경제인협회 회부 납부 승인 결정을 두고서는 “숙고에 숙고를 거듭했다”며 “회원을 보호하고 그 목소리를 대변할 수 있는 경제인단체는 필요하지만, 단체가 정치 권력의 전리품이 되거나 로비 창구가 되면 안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