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단순 노무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은 비전문 취업(E-9) 이민자일수록 이같은 고충은 더 했을 것으로 보인다. 평균 근로시간이 45.9시간에 달해 외국인 체류자 중 가장 길었는데, 본국에서 생활할 때에 비해 소득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지만 한국어 공부 등 적응에 할애할 시간은 부족했기 때문이다.
|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이민자 체류실태 및 고용조사’ 결과에 따르면 차별 대우를 받은 경험이 있는 외국인 비중은 전체의 17.4%에 달했다. 통계청은 지난해 이민자 체류 실태 및 고용조사를 분석, 국내 거주 외국인(156만명)을 체류 자격별로 나눠 한국 생활을 분석했다.
비전문취업자의 경우 ‘한국어 능력’으로 인해 차별받았다는 응답률이 44.1%에 달해 전체 체류자격 중 가장 높았다.
실제로 비전문취업자의 한국어 능력 시험 응시와 급수 취득률은 전체(20.8%)를 소폭 밑돈 20.6%에 그쳤다. 유학생의 절반 이상(55.6%), 전문인력 3명 중 1명(30.1%)이 한국어 능력 시험 급수를 취득한 것과 대비되는 것이다. 특히 비전문취업자들 중 가장 높은 6급을 딴 이들의 비중은 1.9%에 그쳤고, 절반 이상은 초급인 1~2급(66.0%) 수준에 불과했다
이들이 한국어를 제대로 습득하지 못하는 주된 이유로는 일하는 공부할 시간이 부족했다는 점이 꼽혔다. 전체 외국인 취업자의 취업시간은 40~50시간 미만인 경우의 비중(58.5%)이 가장 높았는데, 비전문취업자의 경우 이 비중이 66.3%로 평균을 웃돌았다. 50~60시간인 경우도 25.2%에 달해 전체 체류자격 중 가장 높았다. 이로 인해 평균 취업시간은 45.9시간에 달해 평균(43.2시간)을 웃돈 것은 물론, 전체 체류자격 중 가장 길었다.
긴 근로시간과 한국어를 잘 못하는 데 따르는 차별 경험에도 비전문취업자의 소득에 따른 만족도는 5점 만점에 4.1점으로, 전체 평균(3.7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민자들의 한국 생활 만족도는 평균 4.3점이었다.
한편, 국내 거주하는 이민자의 성별 비중은 남성이 57.8%로 여성(42.2%)보다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15~29세(29.7%)와 30대(27.7%)가 절반 이상이었고, 40대도 15.5%에 달했다. 10명 중 6명(59.0%)은 수도권에 거주했으며, 취업 및 직장 변동(37.6%)이 주거지 선택에 가장 중요한 이유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