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업비는 각 대학의 재학생 규모에 따라 배정된다. 다만 교육부 정책 목표 달성을 위해 정량·정성평가를 시행하고 이 결과에 따라 상대적으로 더 받거나 덜 받는 대학이 나오도록 했다.
교육부는 학생 전공 선택권 보장을 위해 무전공 선발을 확대하는 대학에 인센티브를 부여한다. 전체 신입생 정원 중 25%를 무전공제로 선발하는 대학에 각각 12점(국립대), 15점(수도권 대학)의 가점을 주기로 한 것. 이는 전년도 8점(국립대), 10점(수도권 대학) 대비 각각 4점, 5점 늘어난 점수다. 수도권 대학 기준 무전공 선발 비율이 25% 이상이면 15점 만점을, 20~25%는 12점을, 15~20%면 10점을 받는다.
등록금 동결·인하 대학에는 사업비 집행의 자율성이 확대된다. 각 대학은 사업비 중 25%까지만 인건비로 집행할 수 있지만, 등록금을 올리지 않은 대학은 이 한도를 30%까지 높여주기로 한 것이다.
학령인구 감소 추세에 맞춰 정원 감축도 추진한다. 사업비 중 510억원(4년제대 300억, 전문대학 210억)을 따로 책정, 정원 감축 실적이 높은 대학에 이를 지원한다. 2026학년도 대입에서 2024학년도 미충원 규모 대비 90% 이상의 적정규모화(정원 감축) 계획을 수립한 대학이 지원 대상이다.
교육부는 “교육환경 개선을 위해 적정규모화를 추진하는 경우 학생 지원에 차질이 없도록 올해 일반대학에 300억원, 전문대학에 210억원을 추가 지원한다”며 “통합한 국립대의 경우에도 대학이 안정적으로 운영되도록 통합 대학 출범 후 4년간 사업비를 추가 지원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