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일 일본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소프 편집장은 지난 10일 일본 교토대학에서 열린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주최 침포지엄인 ‘사이언스 재팬 미팅’ 참석 후 인터뷰에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 과학계가 전문성을 잃을 위기 상황에 처해있다고 진단했다. 미국 과학계는 연방정부의 공무원 대량 해고로 연구비 지원 자체가 어려워지는 것은 물론 연구자들도 실직으로 내몰린 상황이다. 한 정부 산하 연구소에서는 과학자 10%가 해고된 것으로 전해들었다고 소프 편집장은 말했다. 그러면서 향후 대학에 지원하는 연구 보조금을 삭감할 가능성도 있어 연구자들이 불안해 하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의 가장 눈에 띄는 움직임은 관세와 외교 정책에 관한 것이었고, 과학 정책의 변화에 관심을 가진 사람은 소수에 불과하다”며 “매우 심각한 상황이 될 가능성이 높은데도 대다수 국민에게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은 과학계에 뼈아픈 교훈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소프 편집장은 또 “미국에서는 앞으로 많은 전문가들의 실직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일본이나 다른 나라들이 인재를 채용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며 “만약 제가 대학이나 회사를 운영하는 입장이라면 한시라도 빨리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달려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가 대규모 감세를 위해 정부 예산을 삭감하는 과정에서 재량권이 많은 과학 연구 예산이 표적이 되기 쉽다고 지적했다. 국방비나 사회보장비에 비해 예산 삭감에 대한 저항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기 때문이다.
소프 편집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으로 미국 과학계의 영향력이 줄어드는 대신 중국이 급부상할 것으로 봤다. 그는 “중국은 과학에 가장 많은 투자를 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며 “그들은 최고 수준의 과학적 결과에 있으며 이미 중국은 미국을 포함한 다른 어떤 나라보다 더 많은 과학 논문을 발표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중국은 과학 저널에 발표된 논문 수에서 미국을 능가할 것”이라며 “이것은 오랫동안 일어나고 있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