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가자지구를 점령하자는 역사적인 제안을 했지만, 아직 미군을 파견하겠다고 확약하지는 않았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가자지구 재건 노력에 미국이 참여해야 한다는 의견이 매우 분명하게 전달됐다. 하지만 그게 가자지구에 병력을 투입하겠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미국 납세자가 그러한 노력에 자금을 지원할 것이라는 의미도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백악관의 해명에도 논란은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과 괴리가 있어서다. 전날 트럼프 대통령은 220만명의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인근국가로 ‘영구적으로’(permanatly) 재정착시키자고 제안했다. 그는 또 재건 계획이 아닌 미국이 팔레스타인 영토를 장기간 통제하며 중동에 ‘리비에라’(고급 휴양지)를 구축하는 계획으로 묘사했다.
이에 미국 민주당은 물론 트럼프 대통령이 소속한 공화당에서도 반대 목소리가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의 제안이 미국을 최우선시하겠다는 공약은 물론, 끝없는 외국 전쟁에 대한 미국의 개입을 중단하겠다는 의제와도 부합하지 않는다는 이유에서다.
켄터키 출신 공화당 상원의원인 랜드 폴은 엑스(X·옛 트위터)에 “우리는 ‘아메리카 퍼스트’에 투표했다고 생각했다. 우리는 미국의 재정을 어렵게 만들고 군인들의 피를 흘리게 하는 또 다른 점령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고 비판했다. 미주리주의 조쉬 홀리 공화당 상원의원도 “미국의 자원을 가자지구에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활용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거들었다.
민주당은 트럼프 대통령의 제안은 ‘인종 청소’라고 맹비난했다. 민주당의 팔레스타인계 하원의원인 라시다 틀라이브는 “이스라엘 정부에 미국의 자금이 계속 유입되는 동안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미 근로자들에 대한 연방 자금을 완전히 차단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논란이 확산하자 트럼프 2기 내각 주요 장관들도 미 국민 달래기에 동참했다. 마르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도 “트럼프 대통령의 제안은 적대적인 움직임이 아닌 재건을 위한 제안”이라고 말했다. 피트 해그세스 국방장관은 “이번 문제에 대해선 틀을 벗어나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다만 그는 잠재적인 군사 개입이 고려되고 있는지에 대해선 함구했다고 FT는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