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업구조 개편은 FSN의 실적 반등으로 이어졌다. FSN산하의 주력 사업들은 어려운 업황 속에서도 호성적을 기록했고, 이를 토대로 FSN의 사업부문은 역대 최대 매출과 흑자전환을 동시에 이루게 됐다. 특히 하이퍼코퍼레이션 및 테크 계열사를 제외한 FSN의 실적은 매출액 2117억원과 영업이익 109억원을 달성하여 FSN 산하 사업만으로도 기존 연결기준 최고 실적 (2021년 매출 1844억원, 영업이익 86억원)을 넘어섰다.
FSN이 주도하고 있는 주력 사업 모두 불확실성이 큰 경기상황에도 두드러지는 성과를 내고 있다. 먼저 광고, 마케팅 사업부문의 경우, 어려운 광고 업황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며 취급고 3,324억원, 매출 461억 원과 영업이익 29억 원을 달성했다. 광고 업계 최신 트렌드로 자리잡은 AI 광고 영역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경영효율화를 통해 유사한 비즈니스를 영위하는 마케팅 자회사들을 통합 운영하면서 수익성, 성장성 모두 크게 향상됐다는 분석이다. 대표적으로 애드쿠아인터렉티브(이하 애드쿠아)의 경우, 매출 295억원, 영업이익 21억원을 기록하며, 대표 마케팅 자회사로서의 경쟁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고, 마더브레인, 넥스트미디어그룹, 레코벨 등도 모두 흑자 경영에 성공했다.
FSN의 신성장동력이 될 플랫폼 상생 사업도 점차 탄력을 받는 모양새다. 국내 최초, 최대 모바일 애드네트워크 ‘카울리’가 매출액 306억원, 영업이익 15억원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플랫폼 사업의 중심을 잡고 있고, ‘대다모’는 연간 방문자 수 624만 명을 돌파하며 10년 연속 국내 1위 탈모 커뮤니티 자리를 차지하며 지속적으로 양호한 실적을 달성하고 있다. 그 외 글로벌 팬덤 플랫폼 ‘마이원픽’, 게임 마케팅 플랫폼 ‘캐시플레이’, 모바일 상담 서비스 ‘출장도사’ 등도 각 카테고리에서 입지를 넓혀 나가고 있다.
서정교 FSN 대표이사는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한 테크 관련 사업은 하이퍼코퍼레이션으로 이관하고, FSN은 마케팅과 브랜드 및 플랫폼 상생 사업에 집중함에 따라 각각의 전문성과 경쟁력을 높일 수 있었으며, 이는 어려운 업황 속에서도 사상 최대 매출과 흑자전환으로 이어졌다”며 “하이퍼코퍼레이션의 일회성 비용 등으로 인한 당기순손실을 제외하고, FSN 산하의 광고 마케팅, 브랜드, 플랫폼 사업의 성장세를 보면 FSN의 사업부문이 얼마나 건실하게 성장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올해 사업구조 조정 등을 통해 부채 비율도 개선해 나갈 것이며 FSN과 하이퍼코퍼레이션의 각 사업별 분리 운영 체계 구축도 완료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이제 FSN은 Shared Growth Company로서 광고 마케팅 경쟁력을 통해 K-브랜드와 플랫폼의 성장에 더욱 직접적으로 기여하면서 당사의 성장성도 극대화해 나갈 것이다. 이미 비수기인 연초부터 부스터즈가 동기 최대 매출을 경신하는 등 좋은 성과들이 나타나고 있으며, 현재 저평가된 기업가치 역시 적절한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