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박종화 기자]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의 상견례를 마친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한·미 고위급 소통이 더 긴밀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조 장관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 무역주의 정책에 대해서도 미국과 소통을 서두를 것이라고 했다.
 | 조태열 외교부 장관과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15일(현지시간) 뮌헨안보회의(MSC)가 열리는 독일 뮌헨의 바이어리셔호프 호텔에서 40분간 회담을 갖고 한미동맹과 북핵 문제, 한미일 협력, 경제 협력 등 현안을 두루 논의했다.(사진=연합뉴스) |
|
조 장관은 16일(현지시간) 독일 뮌헨의 한 호텔에서 기자들과 만나 전날 한·미 외교장관 회담에 대해 “한·미 동맹 강화, 대북 공조, 한·미·일 협력 확대에 대한 한·미의 일치된 방향성을 재확인했으며 앞으로 이를 토대로 한미 양국 간 고위급 소통이 더욱 긴밀해지리라 본다”고 평가했다. 전날 조 장관은 뮌헨안보회의를 계기로 루비오 장관과 만나 한·미 동맹과 북핵 문제, 관세 문제 등을 논의했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첫 한·미 외교장관 회담이었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 무역주의 정책에 대해 조 장관은 “철강·알루미늄 관세에 있어서는 산업부 등 소관 부처에서 우리 기업의 피해가 최소화되는 방향으로 조속히 미 측과 협의할 것”이라며 “상호 관세 부과 가능성에 대해서도 품목별 영향을 업계와 세부적으로 검토, 분석하여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다음 달 12일부터 한국 등 외국산 철강·알루미늄 제품 관세를 일괄 25%로 인상하겠다고 발표한 데 이어 4월부터는 각국이 미국산 상품에 부과하는 관세와 비관세 장벽을 고려해 상응하는 관세율을 부과하는 상호관세를 도입할 계획이다. 조 장관은 “한미 경제 협력에 있어서도 미국 지역 재외공관은 물론 우리 기업 네트워크까지 폭넓게 활용해서 조선 등 신규 협력 분야 발굴을 위해 노력 중”이라고도 했다.
한·미 외교장관 후 이어진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에선 한·미·일 협력 증진과 대북 공조, 대만 문제, 경제 안보 등이 의제로 올랐다. 회담 후 공동성명에서 한·미·일 외교장관은 ‘대만의 적절한 국제기구에의 의미 있는 참여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이에 대해 외교부 고위 관계자는 한국 요청으로 ’적절한‘이란 표현이 들어간 것에 “나름대로 (중국을) 배려해가면서 노력한 결과”라고 했다. 모든 국제기구 가입을 지지하는 게 아니라 국가성을 상정하지 않는 국제기구 참여 가능성을 언급한 것이란 설명이다.
이번 독일 방문은 12·3 비상계엄 사태 후 조 장관의 첫 해외 방문이었다. 조 장관은 “대외적으로는 우리 외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알리는 의미도 있다”며 “여러 카운터파트(상대)도 우리가 지금의 위기를 하루속히 극복하고 글로벌 무대에서 국력에 상응하는 외교적 기여를 계속하기를 기대하면서 한국과의 협력 심화를 희망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