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혜선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주가조작 의혹을 받는 삼부토건 수사에 나선 가운데, 금융당국이 삼부토건 관련 의혹에 ‘늦장 대응’을 한 경위도 들여다볼지 주목된다.
 |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인인 김건희 여사가 제21대 대통령선거일인 6월 3일 오전 서울 서초구 원명초등학교에 마련된 서초4동 제3투표소로 투표를 위해 입장하고 있다.(사진=공동취재) |
|
6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신장식 조국혁신당 의원실 관계자는 “내주 중 특검에 (삼부토건 관련) 금융당국의 늑장 대응에 대해 국회에서 나온 의혹과 자료를 취합한 의견서를 전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삼부토건에 주가조작 의혹이 불거질 무렵 금융당국이 신속히 조사에 나서지 않은 이유를 수사를 통해 밝혀야 한다는 주장이다.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은 전현직 직원들이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주로 자사 주식을 띄웠다는 내용이다. 삼부토건 전·현직 회장, 대표이사 등은 지난 2023년 5~6월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을 추진할 것처럼 주가를 띄우고 보유한 주식을 매도해 부당 이득을 취했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실제로 삼부토건은 우크라이나 재건 국제 콘퍼런스하고, 현지 지방자치단체와 업무협약(MOU)을 맺어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주로 분류됐다. 당시 콘퍼런스에는 원희룡 국토교통부장관도 참석한 자리였다. 삼부토건은 2개월 만에 1000원대인 주가가 장중 5500원까지 치솟았다.
그런데 한국거래소는 이러한 정황을 지난해 7월에서야 이상거래 심리에 나섰다. 금융감독원 역시 9월에 관련 조사를 착수해 반 년 넘게 조사를 이어오다가, 올해 4월에서야 금융위원회 증권선물위원회가 해당 의혹을 검찰에 고발했다. 당시 더불어민주당 소속 국회 정무위원회 의원들은 강제 수사권이 없는 금감원이 왜 사건을 신속히 금융위나 검찰 등에 넘기지 않느냐며 항의하기도 했다. 또 금융위가 고발한 대상에는 김 여사 등이 제외됐다.
한편, 김건희 특검팀은 삼부토건 관련 의혹을 ‘1호 수사대상’으로 조사하고 있다. 특검 관계자는 “이 사건을 먼저 시작한 것은 가장 준비가 된 것, 국민적 관심사가 가장 큰 사건 등이 중요한 기준이 됐다”며 “사건 혐의사실 및 이 사건 관련해 제기된 의혹을 최대한 신속하게 밝히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