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월 기준 청년 실업자는 코로나19 시기인 2021년 41만 6000명에서 2022년 29만 5000명, 2023년 29만 1000명, 2024년 26만 4000명으로 3년 연속 감소했지만 올해 들어 4년 만에 증가 전환했다. 청년층 인구가 빠르게 감소하는 상황에서도 일자리를 찾지 못하는 청년은 오히려 늘어난 것이다.
구직활동도 하지 않는 청년 비경제활동인구 역시 420만 9000명으로 1년 전보다 1만 5000명 증가했다. 이중 별다른 활동 없이 ‘그냥 쉬는’ 청년은 50만 4000명으로 2003년 통계 집계 이후 최대치를 경신했다. 청년 비경제활동 인구 중 ‘취업준비자’는 43만 4000명이었다.
어렵게 일자리를 구한 청년들도 상황은 녹록지 않다. 청년층 중 주간 취업시간이 36시간 미만인 사람은 93만 6000명이었다. 청년층 취업자가 355만 7000명인 점을 고려하면 취업자 4명 중 1명은 주 40시간(주 5일) 근무하는 전일제 근로자가 아닌 단시간 근로자인 셈이다.
30대 상황도 좋지 못하다. 30대 ‘쉬었음’ 인구는 지난달 31만 6000명으로, 2003년 통계 집계 이래 같은 달 기준 가장 많았다. 30대 쉬었음 인구는 한 번 이상 퇴직한 뒤 마음에 드는 일자리를 찾지 못해 구직을 포기한 경우가 상당수 포함됐다는 게 전문가들 분석이다. 20대와 달리 기업의 경력직 채용 기조보다 일자리 미스매치나 양질의 일자리 부족 영향이 크다는 것이다.
제조·건설업 등 질 좋은 일자리 감소세는 심화하고 있다. 지난달 제조업 취업자는 7만 4000명 줄어 지난해 7월 이후 8개월째 내림세를 보였다. 건설업 취업자도 16만 7000명 감소해 10개월 연속 줄었다. 공공기관 정규직 채용 규모도 지난해 2만명 아래로 떨어졌고, 일반 정규직 중 청년 비중(82.5%)은 4년 만에 가장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