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형주 벤치마크인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2.13% 오른 5638.94를 기록했다. 전날 최고점 대비 10% 이상 빠지며 조정국면에 빠졌지만, 다시 반등했다.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는 2.61% 급등한 1만7754.09에 마감했다. 월가 공포지수로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 변동성지수(VIX)는 12% 가량 떨어지며 22선 아래로 내려갔다.
트럼프 대통령의 추가 관세 정책 발표가 나오지 않으면서 당분간 무역전쟁 긴장 고조에 대한 우려가 완화됐다. 투자자들은 저가매수세에 나서면서 증시가 일부 회복하는 분위기다.
다만 불확실성은 여전히 남아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 여파로 향후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3개월 연속 급격하게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지난해 12월 2.8%에서 올해 1월 3.3%, 2월 4.3%, 3월 4.9%로 빠른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5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연 3.9%로 2월(3.5%) 대비 0.4%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1993년 이후 가장 큰 월간 증가 폭이다.
트럼프 관세에 따른 인플레 우려가 커지면서 소비자들의 자신감을 반영하는 소비자심리지수도 3월 57.9를 나타냈다. 이는 2월 지수(64.7)보다 크게 낮아진 데다 지난 2022년 11월 이후 2년 4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63.2)도 크게 밑돌았다.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집계를 관장하는 조안 슈 디렉터는 “현재 미국 경제 상황에 큰 변화가 없지만, 개인 재무나 노동시장, 인플레이션, 사업환경, 증시 등 다양한 경제 측면에서 미래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가 악화했다”라며 “경제정책의 잦은 변동은 개인의 정책 선호도와 관계없이 소비자들의 미래 계획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라고 평가했다.
기대 인플레이션이 올라가면 연방준비제도는 금리인하에 보다 신중해질 수밖에 없다. 국채금리가 이날 대거 상승한 이유다. 오후 4시기준 10년물 국채금리는 전 거래일 대비 4.2bp(1bp=0.01%포인트) 오른 4.318%를, 연준 정책에 민감하게 연동하는 2년물 국채금리는 7bp 상승한 4.023%를 기록 중이다.